멸종위기동물

천산갑 – 가장 밀렵당하는 포유류의 비극

ad제니 2025. 4. 1. 20:52

비늘 뒤에 숨겨진 고요한 생명

천산갑(Pangolin)은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숲과 초원에서 서식하는 포유류로, 전신을 덮은 딱딱한 비늘이 가장 큰 특징이다. 외형은 마치 공룡이나 파충류처럼 보이지만, 이들은 열심히 개미와 흰개미를 파먹는 온순한 야행성 포유동물이다.

 

그들의 비늘은 단단하고 날카로워 천적의 이빨이나 발톱으로도 쉽게 뚫을 수 없으며, 위협을 느끼면 몸을 둥글게 말아 방어하는 습성이 있다. 이 독특한 방어 기제는 수천만 년의 진화를 거치며 생존에 적응한 결과다. 천산갑은 생김새만큼이나 독특한 행동과 생태를 지녔으며, 한밤중 조용히 숲을 돌아다니며 개미집을 찾아 긴 혀로 곤충을 핥아먹는다.

 

천산갑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이 불법 거래되는 포유류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전통 약재와 고급 식재료로 여겨지는 비늘과 고기로 인해, 수십만 마리가 매년 밀렵당하고 있다. 국제적으로 보호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검은 시장에서 그 수요는 끊이지 않는다. 이로 인해 천산갑은 조용히 멸종의 길을 걷고 있으며, 일부 종은 이미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

 

 

 

생물학적 특징 – 조용하고 방어적인 곤충 사냥꾼

천산갑은 몸길이 30센티미터에서 100센티미터까지 다양하며, 체중은 종에 따라 2킬로그램에서 30킬로그램 정도다. 몸 전체를 덮은 케라틴 비늘은 마치 갑옷처럼 단단하며, 위협을 느끼면 몸을 말아 공처럼 둥글게 만드는 데 사용된다. 이 독특한 방어 기제는 천산갑을 포식자로부터 지키는 가장 강력한 무기다. 인간의 손에는 속수무책이지만, 자연 속에서의 방어 능력은 탁월하다.

 

이들은 눈이 좋지 않고 귀도 작지만, 후각이 뛰어나 먹이를 찾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시각에 의존하지 않는 대신, 발달된 후각 기관과 진동 감지 능력으로 개미굴이나 흰개미 집을 탐지한다. 입에는 이가 없으며, 대신 길고 끈적한 혀를 이용해 수천 마리의 곤충을 혓바닥에 붙여 먹는다. 하루에 최대 2만 마리 이상의 곤충을 섭취할 수 있으며, 이는 생태계 내에서 곤충 개체 수 조절에 크게 기여한다.

 

천산갑은 땅을 파는 데 능숙하며, 앞발의 발톱은 땅굴을 만들거나 개미집을 부수는 데 사용된다. 야행성이며 단독 생활을 선호하는데, 이러한 습성은 천산갑이 조용하고 은밀하게 살아가는 생태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번식은 일반적으로 연 1회로 이루어지며, 암컷은 보통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태어나자마자 어미의 등에 올라타고 다니며 보호를 받는다. 어미는 새끼에게 몇 개월 동안 먹이 찾는 법을 가르치고, 위험한 상황에서는 몸으로 감싸 새끼를 보호한다. 수명은 야생에서 10년에서 15년 정도로 추정되며, 사육 환경에서는 20년 이상 살기도 한다.

 

천산갑 – 가장 밀렵당하는 포유류의 비극

 

 

멸종 위기의 원인

1. 비늘과 고기를 노린 밀렵

천산갑의 비늘은 한약재로 오랜 시간 사용되어 왔으며, 혈액 순환, 염증 완화 등의 효과가 있다고 믿는 문화가 존재한다. 과학적으로 검증된 바는 없지만, 수요는 여전히 높다. 또한 일부 고급 요리에서 천산갑 고기가 진미로 여겨지며 고가에 거래된다. 밀렵꾼들은 덫, 개, 야간 조명 등을 이용해 천산갑을 포획하고, 불법 유통망을 통해 국내외 시장으로 유통시킨다. 중국, 베트남 등에서 수요가 특히 높으며, 아프리카와 동남아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포획된다.

 

2. 불법 국제 거래와 단속의 한계

천산갑은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모든 국제 거래가 금지되어 있지만, 비밀리에 이뤄지는 밀수와 거래는 여전히 활발하다. 비늘을 가공한 후 화장품, 장신구, 약재 등으로 위장하여 유통되며, 일부는 냉동 고기 상태로 밀반입된다. 불법 거래의 수익성이 매우 높고, 단속 인력과 자원이 부족해 단속은 쉽지 않다. 또 일부 국가는 내부 법령과 처벌이 약해 억제 효과가 크지 않다.

 

3. 서식지 감소와 생태적 스트레스

천산갑은 개발, 농업 확장, 벌목 등으로 인해 원래 서식지에서 밀려나고 있다. 특히 아시아 지역의 도시화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천산갑의 은신처와 먹이원이 줄어들고 있다. 서식지 파편화는 개체군의 고립을 초래하며, 번식률 저하와 유전적 다양성 감소로 이어져 장기 생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복원과 보존 노력

1. 국제 협약과 법적 보호

모든 천산갑 종은 CITES 부속서 I에 등록되어 국제 거래가 전면 금지되어 있으며, IUCN 역시 대부분의 천산갑 종을 위기종 또는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많은 국가는 천산갑을 법적으로 보호하고 있으며, 밀렵과 유통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고 있다.

 

2. 밀수 단속과 감시 기술 도입

공항, 항구 등에서의 단속을 강화하고, X-ray, 탐지견, 드론 등을 활용한 감시 체계가 도입되고 있다. 국제경찰과 세관의 협력도 확대되어, 범국가적 밀매 조직을 추적하고 있다. 또한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밀거래 감시도 강화되고 있으며, AI를 활용한 감시 시스템 개발도 추진 중이다.

 

3. 인식 개선과 지역 참여 확대

천산갑 보호를 위한 교육 캠페인이 다양한 국가에서 진행되고 있다. 지역 주민들에게는 천산갑의 생태적 가치와 보호 필요성을 알리고, 생태관광, 보호 센터 일자리 등을 통해 대체 수입원을 제공하는 방식이 시도되고 있다. 중국, 베트남 등 주요 소비국에서도 전통 약재 대체품을 장려하고, 소비자 인식을 바꾸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1. 전통 약재, 야생동물 식재료 소비 자제

천산갑과 관련된 제품(비늘, 고기 등)을 피하고, 윤리적이고 지속가능한 소비를 실천하자.

 

2. 밀렵 반대 캠페인 후원 및 확산

천산갑 보호 단체를 후원하거나, SNS를 통해 이들의 활동을 소개하고 알리자.

 

3. 생물 다양성의 중요성 알리기

교육 콘텐츠, 다큐멘터리, 공익 캠페인 등을 주변과 나누며 생물 다양성 보호의 필요성을 함께 확산시키자.

 

 

 

보이지 않는 희생, 사라지기 전에

천산갑은 조용하고 해를 끼치지 않으며, 생태계에서 해충 조절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인간의 탐욕은 그들을 침묵 속에서 멸종의 벼랑 끝으로 몰아넣고 있다. 지금 우리가 외면한다면, 천산갑은 미래 세대가 사진으로만 보게 될 또 하나의 멸종 동물이 될 것이다. 보이지 않는 희생을 기억하고, 지금 행동하자.